본문 바로가기
건강 이야기

식중독 예방 및 병원성 대장균 관련 Q&A

by 간호1004 2020. 7. 8.

Q1. 여름철에 식중독 발생이 많은 이유는?

A. 식중독은 여름철뿐만 아니라 사계절 모두 발생하지만 여름철은 고온 다습해서 식중독균 성장하기 좋은 조건이어서 병원성 대장균 등 세균성 식중독이 많이 발생한다.

Q2. 여름철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식중독은?

A. 여름철은 병원성 대장균, 살모넬라, 캠피로박터, 퍼프린젠스, 장염비브리오 등 세균에 의한 식중독이 많이 발생한다.

Q3. 여름철에 병원성대장균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식중독 발생현황은?

A. 병원성대장균 발생은 이른 더위, 기온 상승, 폭염이 증가 등 기후변화에 따라 매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Q4.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증상은?

A.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에 걸리면 묽은 설사, 복통, 구토, 피로, 탈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병원성대장균의 한 종류인 장출혈성 대장균의 경우 증세가 좀 더 심해 출혈성 대장염, 용혈성 요독증후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Q5. 병원성대장균 오염경로는?

A. 병원성대장균은 동물의 대장 내에서 서식하고 있는 대장균 중에 일부 병원성을 가지고 있는 균으로 분변에 오염된 물, 오염된 용수로 세척한 식품, 도축과정에서 오염된 육류를 통해 감염된다. 특히 분변, 축산 폐수 등에 오염된 지하수, 강물 등을 정수하지 않고 농업용수로 사용해 채소를 재배하면, 채소가 병원성대장균에 오염될 수 있다.

Q6.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원인식품은?

A.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을 일으키는 원인식품으로는 김치 등 생채소가 포함된 식품>육류>김밥 등 복합조리식품 순이다. 채소류가 우리나라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의 주요 원인식품인 이유는 여름철에 병원성대장균에 오염된 채소를 충분히 세척, 소독하지 않고 김치를 담그거나 생으로 섭취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댓글